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 포함: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
내년부터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가 포함된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5년부터는 56세(1968년생)에 해당되는 사람은 국가건강검진 시 C형간염 항체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항체 양성자는 C형간염 확진을 위한 검사 비용을 지원받게 됩니다.
이 결정은 지난 3일 질병관리청에서 개최된 제2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서 이루어졌습니다.
C형간염의 위험성과 중요성
C형간염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는 C형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으로 발생하는 간질환입니다. 적시에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바이러스 간염, 간경변증, 간부전, 간암 등 중증 간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한 감염병입니다.
국내 간암 발생의 10%~15%는 C형간염이 원인으로, C형간염 환자의 54%~86%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며, 이들 중 15%~51%는 간경변증으로 악화한다고 합니다. 특히 간경변증 환자의 경우 연간 15%의 확률로 간암이 발생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의 필요성
C형간염은 예방 백신이 없지만, 치료제가 있어 완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C형간염 환자의 대부분(70%)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만성화하거나 중증 간질환으로 악화한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증상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에 도입된 C형간염 항체검사는 이러한 무증상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국가건강검진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각국의 C형간염 선별검사 사례
일본, 대만, 이집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검사를 포함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호주, 프랑스 등 다른 국가들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C형간염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국가건강검진의 새로운 변화
이번에 도입된 C형간염 항체검사는 선별검사로,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진 검사가 필요합니다. 질병청은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간염 항체 양성으로 결과를 통보받은 사람이 확진 검사를 조기에 받을 수 있도록 확진 검사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전문가들의 의견
김윤준 대한간학회 이사장은 “C형간염은 무증상이 많아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증 간질환으로 악화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C형간염으로 진단받으면 곧바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 역시 “이번 국가건강검진 내 C형간염 검사 도입으로 그간 추진해 오던 C형간염 퇴치를 위한 핵심적 기반을 마련했다”면서 “대국민 홍보 강화, 임상진료지침 개발,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의료환경 내 감염관리 제고, 고위험군 대상 검진 및 치료 사업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C형간염 퇴치에 적극 노력하겠다” 고 밝혔습니다.
마치며...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가 포함됨으로써 무증상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C형간염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번 변화가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C형간염 퇴치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출처: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xa/wlfarePr/selectWlfareContent.do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확대: 연 매출 6000만 원 이하 소상공인 대상 (0) | 2024.07.09 |
---|---|
실업급여 신청 방법 및 조건 (0) | 2024.07.08 |